인터넷에서 파일을 잘 못 다운로드하면 악성코드 및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.
특히 원도우 정품인증 프로그램 또는 인증키 관련 프로그램 등에 포함되어있을 확률이 높습니다.
<증상>
Win32.Neshta.Gen는 감염된 파일이 실행되면 PC의 모든 .exe 파일을 감염시킵니다. 이때 백신을 이용해서 치료를 하면 해당 파일은 정상작동을 하지 않습니다.
모든 실행파일들을 감염시키므로 설치된 거의 대부분의 프로그램 실행이 불가능해 집니다.
<해결(치료) 방법>
1. .exe파일 외의 자료 파일 백업
=> .exe 파일만 감염되기 때문에 자료 파일 등은 백업하셔도 재감염되지는 않습니다.
2. 윈도우를 완전히 재설치합니다. (USB 또는 CD 이용)
=> 설치하는 디스크 외 다른 디스크는 포맷이나 내용 삭제 안 하셔도 됩니다.
3. 대부분의 백신 프로그램(네이버 백신, 알약 등)으로 치료가 가능하니 컴퓨터 백신을 설치하고 모든 디스크에 대해서 검사 및 치료를 실시
합니다.
=> 아주 많은 파일이 감염되었다고 나오겠지요. (실행하지 않은 .exe파일에도 자체 전파를 하니까요)
우측에 스크롤바를 보세요... 어마어마한 양입니다.

4. 프로그램들 재설치...
5. 백업받은 파일 및 자료들 다시 정리
<중요사항>
윈도우 재설치 후 혹시나 하는 마음에 다른 실행파일 구동하지 마세요. 바이러스 치료하지 않고 구동과 동시에 재감염됩니다. (그럼 윈도우 또다시 설치해야 됩니다.)
물론 바이러스를 치료하면 바이러스는 치료는 되지만 실행파일도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됩니다.
'기타 > 인터넷_컴퓨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SD 마이그레이션 에러(0x80042302 OR 0x8004230c)나올 때 체크사항 (0) | 2022.11.30 |
---|---|
Utorrent 한글(멀티 랭귀지) 설치하기 (0) | 2022.10.25 |
다운받은 폰트가 저작권 위반인지 확인하는 점검 프로그램 (0) | 2022.09.17 |
윈도우10 새알림 끄기/켜기 (0) | 2022.08.12 |
구글 에드센스에서 받은 외화수표 입금받기(추심) (0) | 2022.08.11 |